본문 바로가기
생각💡/독서

[독서] 박영규의 한 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

by 다비니 2022. 6. 18.
728x90

한동안 독서 포스팅이 너무 뜸했던 것 같아 반성하고 열심히 다시 작성하려고 한다.

 

2022년 6~7번째 책, 박영규의 '한 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

(2022년 2월 ?일~2월 14일)

2022년에 읽은 6~7번째 책으로, 예전에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구매해서 책장에 오래 있던 책이다. 삼국시대에 대한 이해력을 더 높이고 싶어서 구매하였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신라와 고구려 왕조의 흥망사를 기록한 책으로, 재위했던 왕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고 있다. 길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고구려와 신라의 역사를 책 한 권으로 주요 내용만 간추려 설명했다.

참고로 박영규 저자의 '한 권으로 읽는' 시리즈는 삼국 시대 외에도 일제강점실록, 대한민국 대통령 실록 등이 있다.

 

저자 박영규 소개

Yes 24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공부한 뒤에, 1996년에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을 내면서 저술활동을 시작했다. 1998년에는 중편소설 『식물도감 만드는 시간』으로 “문예중앙신인상”을 수상하면서 소설가로 등단했다. 현재 문학, 철학, 역사 분야에서 수많은 저서를 출간하며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교육에도 관심을 가져 ‘다산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대표작은 역사와 철학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최근에 그는 자신의 저술활동을 이끌어 주었던 생각의 출발점으로 돌아가 동서양의 여러 철학자들과 사상가들에 대한 연구에 매진한 끝에 방대한 분량의 『생각박물관』 집필을 마무리했다.

대표적인 역사서로는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세종대왕실록』,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실계보』, 『환관과 궁녀』, 『교양으로 읽는 중국사』,『대한민국 대통령실록』 등이 있다.

사상서로는 『특별한 한국인』, 『생각의 정복자들』, 『달마에서 성철까지』, 『도덕경 읽는 즐거움』, 『생각 박물관』, 『체질과 인간 유형을 알면 사람 만나는 것이 즐겁다』 등이 있다. 소설로는 『책략』(전5권)과 장편 『그 남자의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 책으로는 『조선사 이야기』(전3권), 『고려사 이야기』(전3권), 『신라사 이야기』(전3권), 『백제사 이야기』, 『고구려사 이야기』(전2권), 『치우대왕과 단군의 나라』, 『김수로왕과 비밀의 나라 가야』, 『조선시대에는 어떤 관청이 있었을까?』, 『조선시대 왕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조선시대 궁녀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조선시대 환관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만화 조선왕조실록』(전8권), 『만화 고구려왕조실록』(전4권) 등이 있다.

 

고구려왕조실록

한나라에서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수십 개나 되는 중국 왕조가 탄생하고 몰락하는 동안에도 흔들림 없이 북방의 맏형이자 동이족의 버팀목으로 대륙의 중심에 서있던 고구려의 역사를 한권에 담았다. 이 책은 여러 나라 사서에 기록된 고구려에 관한 기록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관련 사료 관련, 한국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중국은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등, 일본은 '일본서기', '일본고사기' 등이 있다.

고구려는 제1대 동명성왕부터 제28대 보장왕까지 28명의 왕이 재위하였으며, 왕조의 내력을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순서 왕명 선왕과의 관계 재위기간

1대 동명성왕 개국왕 BC 37년 ~ BC 19년, 18년

2대 유리명왕 동명성왕의 장남 BC 19년~AD 18년, 36년

3대 대무신왕 유리명왕의 3남 18년~44년, 26년

4대 민중왕 유리명왕의 5남 44년~48년, 4년

5대 모본왕 대무신왕의 장남 48년~53년, 5년

6대 태조왕 유리명왕의 6남 재사의 장남 53년~146년, 93년

7대 차대왕 유리명왕의 6남 재사의 차남 146년~165년, 18년

8대 신대왕 유리명왕의 6남 재사의 삼남 165년 ~ 179년, 14년

9대 고국천왕 신대왕의 차남 179년~197년, 17년

10대 산상왕 신대왕의 4남 197년 ~ 227년, 30년

11대 동천왕 산상왕의 장남 227년~248년, 21년

12대 중천왕 동천왕의 장남 248년~270년, 22년

13대 서천왕 중천왕의 차남 270년~292년, 21년

14대 봉상왕 서천왕의 장남 292년~300년, 8년

15대 미천왕 서천왕의 차남 돌고의 장남 300년~331년, 30년

16대 고국원왕 미천왕의 장남 331년~371년, 40년

17대 소수림왕 고국원왕의 장남 371년~384년, 13년

18대 고국양왕 고국원왕의 차남 384년~391년, 7년

19대 광개토왕 고국양왕의 장남 391년~413년, 22년

20대 장수왕 광개토왕의 장남 413년~491년, 78년

21대 문자명왕 장수왕의 손자 491년~519년, 28년

22대 안장왕 문자명왕의 장남 519년~531년, 12년

23대 안원왕 문자명왕의 차남 531년~545년, 13년

24대 양원왕 안원왕의 장남 545년~559년, 14년

25대 평원왕 양원왕의 장남 559년~590년, 31년

26대 영양왕 평원왕의 장남 590년~618년, 27년

27대 영류왕 영양왕의 이복 동생 618년~642년, 24년

28대 보장왕 평원왕의 3남 대양왕의 장남 642년~668년, 25년

 

신라왕조실록

동시대 존재하던 고구려나 백제와는 전혀 다른 풍습과 삶의 방식을 지니고 있던 신라의 천년 역사를 소개하였다. 신라는 백제나 고구려에 비해 여러 면에서 뒤떨어졌으나 삼국을 통일해낸 왕조다. 화백제도, 골품제도, 화랑도, 세 명의 여왕이 존재하고 박, 석, 김 세 성씨가 하나의 왕조를 이룬 나라다. 56명의 왕이 재위하였다.

순서 왕명 성씨 재위기간 비 고

1대 혁거세왕 박씨 BC 57~AD 4년 (60년) 시조

2대 남해왕 박씨 4~24년 (20년 6개월), 혁거세왕의 아들

3대 유리왕 박씨 24~57년 (33년 1개월), 남해왕의 적자

4대 탈해왕 석씨 43~80년 (37년), 남해왕의 사위

5대 파사왕 박씨 80~112년 (32년 2개월), 유리왕의 차남, 서자

6대 지마왕 박씨 112~134년 (21년 10개월), 파사왕의 적자

7대 일성왕 박씨 134~154년 (19년 6개월), 유리왕의 적자

8대 아달라왕 박씨 154~184년 (30년 1개월), 일성왕의 적자

9대 벌휴왕 석씨 184~196년 (12년 1개월), 탈해왕의 손자

10대 내해왕 석씨 196~230년 (33년 11개월), 벌휴왕의 손자

11대 조분왕 석씨 230~247년 (17년 2개월), 내해왕의 사위/조카

12대 첨해왕 석씨 247~261년 (14년 7개월), 조분왕의 동복아우

13대 미추왕 김씨 261~284년 (22년 10개월), 조분왕의 사위

14대 유례왕 석씨 284~298년 (14년 2개월), 조분왕의 장남

15대 기림왕 석씨 298~310년 (11년 6개월), 유례왕의 사위/조카

16대 흘해왕 석씨 310~356년 (46년), 내해왕의 손자

17대 내물왕 김씨 356~402년 (46년), 미추왕의 사위, 김알지의 8세손

18대 실성왕 김씨 402~417년 (15년 3개월), 내물왕의 먼 친척, 김알지의 후손

19대 눌지왕 김씨 417~458년 (41년 3개월), 실성왕의 사위

20대 자비왕 김씨 458~479년 (20년 6개월), 눌지왕의 장자

21대 소지왕 김씨 479~500년 (21년 9개월), 자비왕의 3자

22대 지증왕 김씨 500~514년 (13년 8개월), 소지왕의 6촌 아우

23대 법흥왕 김씨 514~540년 (26년), 지증왕의 장자

24대 진흥왕 김씨 540~576년 (36년 1개월), 법흥왕의 조카/외손

25대 진지왕 김씨 576~579년 (2년 11개월), 진흥왕의 차남

26대 진평왕 김씨 579~632년 (52년 6개월), 진흥왕의 손자

27대 선덕여왕 김씨 632~647년 (15년), 진평왕의 차녀

28대 진덕여왕 김씨 627~654년 (7년 2개월), 진평왕의 조카

29대 태종무열왕 김씨 654~661년 (7년 3개월), 진지왕의 손자/진평왕의 외손

30대 문무왕 김씨 661~681년 (20년 1개월), 무열왕의 장자

31대 신문왕 김씨 681~692년(11년), 문무왕의 차남

32대 효소왕 김씨 692~702년 (10년), 신문왕의 장자

33대 성덕왕 김씨 702~737년 (34년 7개월), 신문왕의 차남

34대 효성왕 김씨 737~742년 (5년 3개월), 성덕왕의 3남

35대 경덕왕 김씨 742~765년 (23년 1개월), 성덕왕의 4남

36대 혜공왕 김씨 765~780년 (14년 10개월), 경덕왕의 장자

37대 선덕왕 김씨 780~785년 (4년 9개월), 내물왕의 10대 손, 반란으로 왕위 찬탈

38대 원성왕 김씨 785~798년 (13년 11개월), 내물왕의 12대 손

39대 소성왕 김씨 799~800년 (1년 5개월), 원성왕의 손자

40대 애장왕 김씨 800~809년 (9년 1개월), 소성왕의 장자

41대 헌덕왕 김씨 809~826년 (17년 3개월), 소성왕의 동복아우, 애장왕을 죽이고 왕위 찬탈

42대 흥덕왕 김씨 826~836년 (10년 2개월), 헌덕왕의 동복아우

43대 희강왕 김씨 836~838년 (1년 1개월), 원성왕의 증손, 반란으로 등극, 자살

44대 민애왕 김씨 838~839년 (1년 1개월), 원성왕의 증손, 반란으로 왕위 찬탈

45대 신무왕 김씨 839~839년 (6개월), 원성왕의 증손, 반란으로 왕위 찬탈

46대 문성왕 김씨 839~857년 (18년 2개월), 신무왕의 장자

47대 헌안왕 김씨 857~861년 (3년 4개월), 문성왕의 숙부, 신무왕의 이복동생

48대 경문왕 김씨 861~875년 (14년 6개월), 헌안왕의 사위

49대 헌강왕 김씨 875~886년 (10년 10개월), 경문왕의 장자

50대 정강왕 김씨 886~887년 (1년), 경문왕의 차남

51대 진성여왕 김씨 887~897년 (9년 11개월), 경문왕의 딸

52대 효공왕 김씨 897~912년 (14년 10개월), 헌강왕의 서자

53대 신덕왕 박씨 912~917년 (5년 3개월), 아달라왕의 후손, 헌강왕의 사위, 반란으로 등극

54대 경명왕 박씨 917~924년 (7년 1개월), 신덕왕의 장자

55대 경애왕 박씨 924~927년 (3년 3개월), 경명왕의 동복아우

56대 경순왕 김씨 927~935년 (7년), 경애왕의 외종제, 문성왕의 후예, 견훤이 세움.

 

마무리

고구려왕조실록을 읽다보니 어릴 때 배운 역사가 조금씩 떠올랐다. 반면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신라 왕조는 고구려왕조보다 조금 생소하게 다가오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름도 처음 들어보는 왕도 몇명 있었다. 두 책 모두 어릴 때 책에서 배우지 않았던 내용들도 꽤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4월에 응시한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을 준비하기 앞서 간단히 훑어보기 좋은 책이었다. 백제왕조실록도 구매할까 잠시 고민했지만 먼저 책으로 집에 있는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을 읽기로 했다.

+ [독서]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책 후기

https://krcaus.tistory.com/3

 

[독서]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책 후기

2022년 8번째 책,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2022년 2월 14일~15일) 약 500페이지에 달하는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을 이틀만에 읽었다. 워낙 역사를 재미있게 설명하기로 유명한 분이다 보니 믿고

krcaus.tistory.com

 

공감과 댓글 감사합니다

#박영규 #왕조실록 #고구려왕조실록 #신라왕조실록 #한권으로읽는고구려왕조실록 #한권으로읽는신라왕조실록 #박영규고구려왕조실록 #박영규신라왕조실록 #박영규한권으로읽는고구려왕조실록 #박영규한권으로읽는신라왕조실록 #박영규왕조실록 #책후기 #독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