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쿡🇰🇷/여행

[경주여행]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주차, 매표, 가격, 입장 시간 등) 다보탑, 석가탑, 대웅전, 경주 구경거리, 경주 볼거리, 경주 가볼만한 곳

by 다비니 2022. 7. 14.
728x90

[경주 1일 여행 코스: 석굴암 -> 불국사 -> 무열왕릉 -> 황룡사지 -> 첨성대 -> 월정교 -> 동궁과 월지(안압지)]

[경주·포항 2일 여행 코스: 문무대왕릉 -> 구룡포 일본인 가옥거리 -> 월곶이 -> 스페이스워크]

[경주 3일 여행 코스: 분황사 -> 포석정]

 

석굴암 방문 후 다음으로 향한 곳은 불국사다.

불국사는 석굴암과 같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 때 김대성이 창건하여 서기 774년 신라 혜공왕 때 완공하였다. 불국사는 사적 제50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불국사 내 주요 문화재로는 다보탑(국보), 석가탑(국보), 청운교와 백운교(국보), 연화교와 칠보교(국보),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비로자나불(국보) 등이 있다. 불국사는 1995년 12월 석굴암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재되었다.

 

불국사 매표소 및 주차

매표소 안내판에 나와있는 석굴암 운영시간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네이버에는 매표마감 오후 6시, 퇴장시간 오후 7시라고 나와 있으며, 입장 시간 변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관람료

* 개인

어른 6,000원

중,고등학생 4,000원

초등학생 3,000원

* 단체(20인 이상)

중,고등학생 3,500원

초등학생 2,500원

7세 이하 어린이(10인 이상) : 2,000원

* 무료입장대상자

- 경주시민(신분증 지참시)

- 만 65세 이상인 신분증 소지자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3급 동반 1인무료, 4~6급 본인 무료)

- 국가유공자(신분증 제시자에 한함)

- 조계종 신도증 소지자

 

주차

불국사 정문(매표소)으로 오면 주차장이 있다.

- 주차요금 소형 1,000원, 대형 2,000원

입장하기 전 불국사에 대한 안내를 읽고 들어갔다.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에 재상 김대성이 발원하여 개창되고, 혜공왕 10년에 완성되었다. 조선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 때 의병의 주둔지로 이용된 탓에 일본군에 의해 목조 건물이 모두 불타 버렸다. 그 후 대웅전 등 일부를 다시 세웠고, 1969~1973년 처음 건립 당시의 건물터를 발굴조사하고 대대적으로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극락전, 자하문, 범영루 등의 일부 건물만이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1969년에서 1973년에 걸친 발굴조사 뒤 복원을 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동서 길이 90여m 되는 석축과 청운교·백운교 위에 자하문·대웅전·무설전이 남북으로 놓였고, 석가탑·다보탑이 서 있다. 그 서쪽에 연화교·칠보교·안양문과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신 극락전이 있다. 무설전 뒤편에는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신 비로전과 관음전이 있다.

불국사는 화려하고 장엄한 부처의 나라를 이 땅에 세워 찬미하던 수도자들이 불도를 닦던 곳이다. 풍부한 상상력과 예술적인 기량이 어우러진 신라 불교미술의 정화(精華)로, 1995년 석굴암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불국사 입구 및 가는 길

불국사 입구를 배경으로 티켓 인증샷 찰

들어가면 이런 길이 나오고 계속 들어가면 그 유명한 청운교가 나온다.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큰 나무들 뒤에 가려진 청운교와 백운교가 보인다.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을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는데, 전체 34계단으로 되어 있는 위로는 16단의 청운교가 있고 아래로는 18단의 백운교가 있다.

사진에서만 보던 곳을 실제로 보니 너무 좋았다.

 

다보탑과 석가탑

청운교와 백운교를 구경한 뒤 오른쪽으로 돌아 올라가면 다보탑과 석가탑을 볼 수 있다.

4월에 한능검 공부할 때 큰별쌤 최태성 선생님이 다보탑이랑 석가탑은 따로따로 사진을 찍는 게 아니라 한 장에 같이 찍는거라고 말씀하신 게 기억이 나서 두 탑을 한 장으로 담았다.

다보탑 쪽은 역광이라 다른 각도로 찍기 위해 석가탑 쪽에서도 찍어봤다.

 

다보탑

"다보탑은 서편에 있는 석가탑과 함께 석가여래와 다보여래가 탑 안에 나란히 앉았다는 [묘법연화경]에 내용을 표현한 것이다.

다보탑은 목조 건물의 복잡한 구조를 석탑으로 만들어 낸 뛰어난 작품이다. 탑의 네 모서리에 사자상이 있었으나, 지금은 한 마리만 남았다. 탑은 사각, 팔각, 원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층수를 헤아리기 어렵다. 석가탑과 전혀 다른 형태이면서도 비슷한 높이로 조화를 이룬다. 1925년경에 해체, 보수할 때 불상과 사리장엄구 등을 발견했다는 기록이 있을 뿐 유물은 남아있지 않다.

석가탑과 함께 통일 신라 시대 석탑을 대표한다. 석가탑이 정형화된 세련미로 일반형 석탑을 대표한다면 다보탑은 화려한 특수형 탑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건립 시기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라 불국사가 창건된 경덕왕 10년으로 추정된다.

* 사리장엄구 : 사리함과 사리병을 비롯해 사리를 봉안하는 모든 장치."

아쉽게도 ​이제는 한 마리만 남은 사자 상. 나머지 세 마리는 어디로 갔을까?

 

석가탑

"석가탑은 동편에 있는 다보탑과 함께 석가여래와 다보여래가 탑 안에 나란히 앉았다는[묘법연화경]에 내용을 표현한 것이다.

탑은 전형적인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으로 가장 정형화된 세련미를 보여준다. 다만 머리장식 부분은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의 머리장식을 본떠서 1973년에 복원하였다. 탑 주위는 연꽃무늬를 새긴 추춧돌 모양의 돌로 구획하였다.

1966년에 탑을 수리할 때 2층 몸돌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비롯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로 불국사 건립 시기인 경덕왕 10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

석가탑과 다보탑 사이에는 대웅전이 있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모신 불국사의 중심 건물이다. 대웅전은 대웅을 모신 불전을말한다. 신라 시대의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고 기단만 남았다. 영조 41년에 기단은 그대로 두고 건물만 다시 지었다.

현재의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다포계 건물로 팔작지붕를 올렸다. 정면의 5칸 중에 가운데 칸이 두 배 이상 넓고 내부에는 기둥이 없어 공간이 더 넓어졌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에는 풀꽃무늬와 봉황머리 조각, 용머리 조각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이 대웅전은 웅장한 규모와 화려한 장식으로 우리나라 불교 건축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대웅전 앞에서 바라본 석가탑과 다보탑

파노라마 뷰로 찍어봤다. 

 

범영루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경루에는 예불을 알리는 목어가 있고 범영루에는 법고가 있다. 법고를 받치고 있는 거북의 목이 많이 꺾여 있는 모습이 독특했다.

법고 위에도 디테일함을 볼 수 있었다. 이 모든게 신라 시대의 오래된 예술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다른 곳도 둘러보기 위해 천천히 걸음을 옮겼다.

 

안양문

안양문은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 구역의 정문이다. 안양은 극락의 다른 이름이다. 연화교와 칠보교를 올라 이 문을 지나면 극락적이 보인다. 이 문은 8세기 중엽 불국사가 처음 세워질 때에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여러 차례 고쳐 세운 것이다. 현재의 건물은 강릉 임영관 삼문인 객사문을 본떠 1962년에 신축한 것이다.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안양문에서 내려다 본 불국사 전경이다.

 

나가는 길

이제 불국사 곳곳을 둘러보고 나가기로 했다.

사진으로만 접하던 곳을 직접 걸으며 구경할 수 있다니 걸으면서도 신기하고 색달랐다. 역시 사진은 실제의 모습을 담는 데 한계가 있다.

이번 포스팅은 불국사 당간지주를 끝으로 마무리 지으려 한다.

"불국사 경내 입구의 대석단 앞에 동서 방향으로 나란히 서 있는 2쌍의 당간지주이다. 보통 1쌍의 당간지주를 세우는데 불국사나 황룡사, 익산 미륵사와 같은 큰 절에는 2쌍이 설치되기도 한다.

동쪽 당간지누는 통일 신라 때의 것이고, 서쪽 당간지주는 서로 다른 당간지주를 후대에 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쪽 당간지주의 위쪽에는 홈이 있는데, 이것은 당간지주를 소선 시대에 괘불*을 거는 기둥으로 활용하였음을 보여 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 괘불: 부처, 보살 등을 그린 그림으로 법당 밖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거행할 때 걸어 놓는다."

 

위치

 

 

 

공감과 댓글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