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5편에서는 캐나다 건국부터 2003년까지의 영토 변화와 주/준주별 연방 가입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krcaus.tistory.com/65
6편에서는 캐나다 역사 및 주요 사건을 간단하게 타임라인으로 정리해 보았다.
캐나다 역사 개요
연도
|
내 용
|
30,000–10,000 BC
|
고대 아시아인들이 북극의 베링 해협을 건너 캐나다로 넘어와 이누이트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의 원주민이 된다.
|
c. 1000 AD
|
바이킹 지도자 레이프 에릭슨(Leif Ericsson)이 이끄는 무리들이 아메리카 대륙까지 진출한다.
|
1451
|
이로쿼이어를 쓰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5개의 연맹체인 이로쿼이 연맹(Iroquois Confederacy)이 결성된다.
|
1497
|
1497년 이탈리안 탐험가 조반니 카보토(Giovanni Caboto) 또는 영어식으로 존 캐벗(John Cabot)이 잉글랜드 왕국의 헨리 7세의 재정적 지원으로 바다 건너 육지에 도착하지만, 다다른 곳은 동양이 아닌 신대륙이었다.
- 이에 카보토는 지명을 뉴펀들랜드(Newfoundland)라고 명명하며 영국의 땅이라고 선포한다.
|
1534-1542
|
프랑스 왕국은 1534년 자크 카르티에(Jacques Cartier)를 머나먼 땅에 보낸다. 카르티에는 항해 끝에 세인트로렌스만에 가스페 반도에 다다르게 되고 프랑스의 퀘벡 지역 개척이 시작된다.
- 이후 카르티에는 1542년까지 두번 더 원정에 나서지만 많은 선원을 잃는다. |
1608
|
ㅇ 사뮈엘 드 샹플랭(Samuel de Champlain)이 퀘벡 시티에 도착해 모피 교역을 시작하며 뉴프랑스라는 식민지를 세운다.
- 샹플랭은 캐나다 식민지의 개척자이자 퀘벡의 첫 번째 총독으로, 캐나다 개척의 선구자로 불린다.
ㅇ 비슷한 시기에 영국도 캐나다에서의 식민지 개척을 시작하고 뉴잉글랜드라는 식민지를 세운다. |
1670
|
캐나다 허드슨만(Hudson Bay) 유역을 중심으로 교역 독점권을 가진 허드슨 베이 컴퍼니(Hudson's Bay Company)가 영국에 의해 설립된다.
|
1755
|
영국군들이 캐나다 북동부 아카디아 지역에 정착한 프랑스계 사람들인 아카디안(Acadian)을 추방한다.
|
1759
|
퀘벡 요새 밖에 있는 아브라함 평원(Plains of Abraham)에서 영국 육해군과 프랑스 육군의 사이에서 전투가 벌어지고 영국이 승리한다.
- 이는 7년 전쟁(북미에서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중추가 되는 전투이다. |
1763
|
7년 전쟁이 끝난 후 영국은 파리 조약으로 프랑스의 북미 식민지인 뉴프랑스 영토를 할양받는다.
- 새로운 식민지 개척을 서두르는 과정에서 영국인들은 프랑스 식민지 지역에 살던 인디언들에게 지나치게 고압적인 자세를 취하자 결국 폰티악의 반란(Pontiac's Rebellion)이 일어난다.
- 프랑스 지배 시절 비교적 평화롭게 살아왔던 인디언들은 영국군의 진입으로 그들의 생존이 크게 위협받는다고 생각해 영국군을 상대로 봉기를 일으킨 것이며, 당시 오타와 부족 전투 추장의 이름이 폰티악이었다.
|
1776-1783
|
미국의 독립 전쟁이 일어나면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에 반대한 국왕파(Loyalist)들이 캐나다로 이주한다.
|
1812-1814
|
1812년 전쟁이 발발한다.
- 미국은 영국과의 독립 전쟁(1776~1783)에서 승리한 뒤 그 여세를 몰아 1812년 영국이 프랑스와 전쟁 중이라는 점(나폴레옹 전쟁)을 노려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 - 1812년 6월 18일, 매디슨 대통령이 대영 전쟁 선포에 대해 서명하면서 미국은 공식적으로 영국과 전쟁에 돌입한다.
- 개전 직후 미군이 캐나다를 침공하면서 미국-영국 전쟁은 미국과 캐나다 사이의 전쟁으로 확대된다.
- 몇 차례에 걸친 미군의 캐나다 침공이 좌절되자 영국군이 오히려 미국 영토에 침공하기 시작한다.
- 영국군은 블라덴스버그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까지 진군한다.
- 영국군은 워싱턴을 점령한 뒤 미국의 국회의사당과 백악관을 비롯해 도시를 불태운다. 이 전쟁은 결국 영국의 도움으로 캐나다가 승리한다.
|
1837-1838
|
어퍼 캐나다(Upper Canada)와 로어 캐나다(Lower Canada)에서 소규모의 독립운동이 일어나지만 실패하고 만다.
- 영국은 미국이 독립한 직후인 1791년 캐나다를 어퍼 캐나다(현재 온타리오 주)와 로어 캐나다(현재 퀘벡 주)로 분할해 통치하고 있었다.
|
1848
|
노바스코샤 주는 책임정부를 실시하면서 자치 정부의 특권을 행사하는 최초의 대영제국의 식민지가 된다.
|
1867
|
전쟁을 통해 강력한 정부의 필요성을 느낀 퀘벡 주, 온타리오 주, 노바스코샤 주, 뉴브런즈윅 주가 연합해 7월 1일 영국으로부터 캐나다 자치령(Dominion of Canada)으로 독립한다.
|
1869-1870
|
1869년부터 1870년에 걸쳐 캐나다 위니펙 부근에서 일어난 메티스(유럽인과 캐나다 원주민 사이에 태어난 혼혈인)에 의한 레드강 반란(Red River Rebellion)이 일어난다.
|
1870
|
허드슨 베이 컴퍼니로부터 루퍼츠랜드와 노스웨스턴 준주(North-Western Territory)를 인수하고 지역명을 노스웨스트 준주(North-West Territories)로 변경한다.
- 노스웨스트 준주 일부 지역에 매니토바 주가 만들어지며 연방에 가입한다.
|
1871
|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가 연방에 가입한다.
- 캐나다 최서부에 위치한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는 연방에 가입하는 조건으로 캐나다 중심 지대이던 동부 지역과 이어지는 교통수단을 내건다.
|
1873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주가 연방에 가입한다.
|
1885
|
ㅇ 캐나다 동부와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를 잇는 캐내디안 퍼시픽 철도(the Canadian Pacific Railway)가 완공된다.
ㅇ 루이 리엘(Louis Riel)이 메티스 반란(North-West Rebellion)을 이끈다.
|
1898
|
유콘 준주가 연방에 가입한다.
|
1905
|
앨버타 주와 새스캐처원 주가 만들어지며 연방에 가입한다.
|
1914-1918
|
세계 1차 대전에 참전한다.
|
1916
|
매니토바 주, 새스캐처원 주, 앨버타 주가 여성 참정권을 인정한다.
|
1919
|
위니펙 총파업(The Winnipeg General Strike)이 일어난다.
- 위니펙 총파업은 캐나다 역사상 가장 큰 파업(strike)으로, 유럽이나 미국과는 다른 캐나다 노사관계의 출발점이 된다.
|
1929-1939
|
대공황을 겪는다.
|
1939-1945
|
세계 2차 대전에 참전한다.
|
1949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가 연방에 가입한다.
|
1950-1953
|
한국 전쟁에 참전한다.
|
1959
|
세인트로렌스 수로(St. Lawrence Seaway)가 개항한다.
- 이는 캐나다와 미국의 국경 부근을 흐르는 세인트로렌스 강의 물길을 대규모로 개발하여 외항선이 대서양에서 오대호까지 직접 항행할 수 있는 수로다.
|
1960
|
ㅇ 캐나다 원주민에게 투표권이 주어진다.
ㅇ 퀘벡주는 1960년대 폭력을 수반하지 않은 이른 바 '조용한 혁명(Quiet Revolution/Révolution Tranquille)'을 통해 사회경제 영역에서 영어권이 장악하고 있던 권력이 불어권으로 이양되고, 사회경제와 문화 및 각종 제도 개혁을 이룬다.
- 이때 정부의 역할 강화로, 수도와 전기 서비스의 공영화, 시민들에게 무료 서비스로 각광받는 의료시스템이 구축된다.
|
1967
|
캐나다 건국 100주년을 맞는다.
|
1970
|
퀘벡 주와 오타와 일대에서 테러단체 퀘벡 해방 전선(FLQ, Front de Liberation de Quebec)의 일련의 테러들이 벌어지는 10월 위기(October Crisis)가 일어난다.
- 이 사건으로 제임스 리처드 크로스 영국 외교관과 피에르 라포르테 퀘벡 주 노동장관이 납치된다. - 캐나다 연방정부는 퀘벡 주 전체와 오타와에 계엄령을 내리고 연방군을 파견한다.
- 결국 라포르테는 자동차 트렁크에서 목이 졸려 죽은 채 발견된다.
|
1976
|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이 개최된다.
|
1980
|
5월 20일, 퀘벡의 캐나다 연방 탈퇴 및 입법권, 징세권, 외교권 등 국가로서의 주권 획득을 골자로 하는 분리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방 탈퇴 반대: 2,187,991 (59.56%)
- 연방 탈퇴 찬성: 1,485,851 (40.44%)
|
1982
|
캐나다 법(Canada Act)이 통과되어 영국의 간섭 없이 헌법을 개정할 수 있는 주권이 보장된다.
|
1987-1990
|
1987년 브라이언 멀로니(Brian Mulroney) 총리와 주지사들이 맺은 헌법개정과 관련된 미치호협정(Meech Lake Accord)이 일부 주의 비준 거부로 사문화된다. |
1988
|
캘거리 동계 올림픽이 개최된다.
|
1989
|
미국-캐나다 자유무역협정(CUSFTA, Canad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이 발효된다.
|
1992
|
샬럿타운 협정(Charlottetown Accord)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에서 부결된다.
|
1994
|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의 북미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가 발효된다.
|
1995
|
퀘벡 독립과 관련하여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결과는 약 1%의 근소한 차이로 무산된다.
- 연방 탈퇴 반대: 2,362,648 (50.58%)
- 연방 탈퇴 찬성: 2,308,360 (49.42%)
|
1999
|
캐나다의 세 번째 준주인 누나버트 준주가 만들어지며 연방에 가입한다.
|
2000
|
연방 대법원은 'Clarity Bill'을 제정하여 퀘벡 분리독립이 가능하려면 찬반의 차이가 확실히 나타나야지 근소한 차이로는 퀘벡 주민 전체의 분리 의사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결한다.
|
2010
|
밴쿠버 동계 올림픽이 개최된다.
|
2015
|
한국-캐나다 자유무역협정(CKFTA,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가 발효된다.
|
2017
|
캐나다 건국 150주년을 맞는다.
|
2020
|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이 발효된다.
- 이는 1994년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개정한 새로운 무역협정의 명칭이다.
|
7편에서는 각 주별 특징(산업, 주요 도시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과 댓글을 달아주세요!
#캐나다영토변화 #캐나다연방가입 #캐나다 #캐나다토론토 #캐나다밴쿠버 #토론토 #밴쿠버 #캐나다소개 #캐나다유학 #캐나다이민 #캐나다워홀 #캐나다여행 #캐나다여행정보 #캐나다개요 #캐나다알아보기 #캐나다정보 #캐나다국가정보 #캐나다국호 #캐나다수도 #캐나다인구 #캐나다면적 #캐나다민족 #캐나다언어 #캐나다프랑스어 #캐나다영어 #캐나다종교 #캐나다화폐 #캐나다국가 #캐나다상징 #캐나다왕실찬가 #캐나다국기 #캐나다국장 #캐나다국목 #캐나다국색 #캐나다생활정보 #캐나다지리 #캐나다주준주 #캐나다10개주 #캐나다3개준주 #캐나다건국 #캐나다역사 #캐나다주도 #캐나다최대도시
반응형
'캐나다🇨🇦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5편: 캐나다 영토 변화와 주/준주 연방 가입 역사(1901~2003년) (0) | 2022.03.10 |
---|---|
[캐나다] 4편: 캐나다 영토 변화와 주/준주 연방 가입 역사(1881~1900년) (2) | 2022.03.09 |
[캐나다] 3편: 캐나다 건국 이후의 영토 변화와 주/준주 연방 가입 역사(1867년~1880년) (0) | 2022.03.09 |
[캐나다] 2편: 160살도 안된 캐나다, 건국 및 주/준주 배우기 (0) | 2022.03.03 |
[캐나다] 1편: 지구 반대편 캐나다는 도대체 어떤 나라일까? 국가 개요 및 공식 상징 알아보기 (0) | 2022.02.28 |
댓글